본문 바로가기
세상사는 소식통

일자리 놓고 싸우는 버림받은 두 세대

by soulfree 2008. 12. 4.
 
요즘... 내 주위에서 살벌(?)하게 보고 있는 풍경이다.
나 역시 '10여년 전 외환위기 직후 대학 문을 나서 혹독한 취업난과 자르고 줄이는 구조조정의 허허벌판을 온 몸으로 헤쳐온 30대 초ㆍ중반의 ‘IMF 세대’ 에 속하는 사람일까?...
경력 2년차에 접어들때 IMF사태가 되어 다니던 회사는 부도나고... 그리하여 몇달치 급여 떼이고, 퇴직금 떼이고  그 후로도 나름 꽤 고생을 했으니...
우리 세대들이 여자 독신이 많은 첫 세대가 되어버린건... 우리 세대가 IMF 때가 흔히 말하는 결혼 적령기였으니... 그때 다들 경제적으로 어려워져서 결혼 시기를 놓친 까닭도 있을거다...

지금은 면접관의 입장이 된 나는...
나 역시도 사람을 뽑을때 대학 갓 졸업한 신입보다는 경력직을 선호한다.
나이가 많아도! 신입보다 연봉이 비싸도! 82년 이전에 출생의 사람들을 선호한다.
왜?
그 사람들은 함께 일하기가 편한 세대니까... 함께 믿고 일할 수 있는 세대니까...
나 같은 입장에선 믿고 함께 일할 수 있는 사람을 찾게 되니까 연봉이 더 지출 되더라도 앞으로를 위해선 경력직을 뽑자고 오너를 설득하게 되지...

그럼 대학 갓 졸업한 신입들은?
신입들은 뽑아놓고 일 가르치고 함께 일할만하면 나가버리니까... ㅡㅡ;;;;
신입들은 시키는 일이라도 잘~해~주시면 감사할 뿐이고, 절대로 알아서 자기일 찾아서 하는 법이 없으니까...
신입들은 일터에 동화되어 적응해서 지내려는 노력보다 자기 개성 자기 생활이 더 중요한 사람들이니까...
한마디로 신입들은 함께 일하는데 있어 득보다 실이 더 많은 선택이었던 경우가 많았으니까...

지금의 사회준비생들은 내 말에 다들 투덜거릴지 몰라도 내 주위 실무 책임자들의 의견은 거의 일치한다.
신입보다는 경력.
왜냐고?
그들도 거의 나와 비슷한 경험들을 통해서 어린 사람들을 믿지 못하게 되었으니까...
사람 뽑아봤자 일이 줄기는 커녕 자신들의 일만 자꾸 더 늘어가고 고민만 쌓여가는 경험을 했으니까...
우리쪽의 일은 독특하고 재기발랄한 아이디어 보다는 책임감과 성실함이 더 중요하니까...
(그렇다고 신입들이 꼭 신선하고 획기적인 디자인을 내놨던것도 아니고... ㅡㅡ;;;)
사회 초년생들이 이렇게 신뢰를 받지 못하게 된건 그들의 책임이 크지 않을까?

그나저나...
내가 지금 남 얘기 할때가 아니다. ㅡㅡ;;;;


일자리 놓고 싸우는 버림받은 두 세대
기사출처>>http://media.paran.com/snews/newsview.php?dirnews=3072104&year=2008&pg=1&date=20081204&dir=336
2008년 12월 04일 (목) 02:50   한국일보

20대 "신입채용 주는데 경력까지 뛰어들어"
30대 "IMF때 고생…이젠 좋은 직장 가져야"


“대졸 신입 채용은 계속 줄이고 경력직 뽑는 비율만 늘리면 어떡합니까. 기업도 사회적 책임이 있는 것 아닌가요. 우리 세대가 무슨 죄를 지은 것도 아니고….” 서울 E여대 4학년 이모(23)씨. 토익 900점이 넘는 그는 올 하반기 수십 개 기업에 지원했지만 다 떨어졌다.

“저도 대학 졸업(1999년 2월) 앞두고 죽고 싶은 심정이었습니다. IMF 때문에 한참 백수로 지냈고, 이후에도 좀 낫다는 일자리를 찾아 메뚜기처럼 옮겨 다녔습니다. 저주 받은 우리 세대가 지금이라도 좋은 일자리 갈 수 있는 기회가 많아져야 합니다.”졸업 후 뒤늦게 취직해 중소기업 세 곳을 옮겨다닌 류모(32)씨는 곧 자동차 제조 대기업으로 이직할 예정이다.

중ㆍ고교 시절, 실직하고 부도가 난 부모를 통해 IMF를 간접 경험하고 지금은 본인이 직접 취업대란에 맞닥뜨린, 그래서 연세대 사회학과 김호기 교수가 ‘트라우마(정신적ㆍ신체적 충격 후의 정신적 질환) 세대’라 명명한 20대 중ㆍ후반. 그리고 10여년 전 외환위기 직후 대학 문을 나서 혹독한 취업난과 자르고 줄이는 구조조정의 허허벌판을 온 몸으로 헤쳐온 30대 초ㆍ중반의 ‘IMF 세대’.

외환위기 이후 우리나라에서 가장 불운한 이들 두 세대가 취업, 재취업 전선에서 경쟁하고 갈등하는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 안 그래도 일자리가 줄어드는 가운데, 괜찮은 일자리라는 공기업과 대기업들이 신입 공채 나이제한을 없애며 30대 신입사원의 비율을 높이고, 돈 들여 키워야 하는 신입 대신 당장 써먹을 수 있는 경력직 채용을 늘리고 있기 때문이다.

본보가 한국도로공사 등 8개 공기업의 신입 채용을 분석한 결과, 2007년 현재 신입사원 10명 중 2명이 30대로 조사됐다. 전체 신입 채용은 2005년 1,066명, 2006년 1,010명, 2007년 826명으로 줄었지만, 신입사원 가운데 30대 비율은 9.2% ® 15.2% ® 17.8%로 높아졌다.

외환위기 이후 경력직 채용의 급증은 이들 세대간 일자리 경쟁의 보다 근본적인 원인이다. 상시화 한 경력직 채용이 신규 대졸자 채용을 대체하는 것이다.

본보 취재 결과, 증권사 대부분은 지난해 전체 채용에서 경력직 비율이 30%를 웃돌았다. 삼성ㆍ현대ㆍ신한증권의 경우 32~34%, 대우증권은 50%, 우리투자증권은 86%에 달했다. 불황일수록 기업들은 경력직 채용을 선호해 트라우마 세대의 취업난은 전체 일자리 부족분 이상으로 심해질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불운한 두 세대의 불행한 대결 양상은 본질적으로 취업난의 대물림이자, 우리 사회 고용불안의 슬픈 자화상이라고 분석한다.

김호기 교수는 “비정규직의 확산과 직원부터 먼저 도려내는 식의 구조조정으로 일자리 불안정이 구조화되는 이상, 취업한 트라우마 세대 역시 더 좋은 일자리를 찾아 계속 이직을 모색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지금 더 중요한 것은 (실업률을 낮추는) 완전한 고용이 아니라, 안전한 고용”이라고 말했다. 일자리가 늘어도 고용 불안이 계속된다면 세대간 갈등은 되풀이 될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유병률기자 bryu@hk.co.kr
강희경기자 kbstar@hk.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