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혼자 웅얼웅얼-Q468

바보 된 느낌 현재 친구가 오면서 돈을 내 독일은행으로 입금을 했는데...내 은행의 경우 VISA카드로 외국에서 찾으면 수수료가 무료라길래...그래서 오늘 인출을 하려고 했는데, 실패를 했다...-_-; 우리은행, 국민은행 ATM으로 다 시도해봤는데 안되던데... 이거 은행 상관없는거 아닌가??버튼중에 '신용카드'를 누르니까.. 단기대출?장기대출? 이런게 있길래..그중에 단기대출인가가.. 현금서비스?뭐 써있는것 같아서누르고, 현금액수랑 입력했는데 안됨...그래서 그냥 "예금출금"인가도 눌러봤는데... 역시 그건 해당은행계좌에서 출금이라 그런지 안되는것 같았고.. 다른 외국에 갔을때도 매번 잘 찾았었고.... 친구도 한국와서 잘 찾아서 썼는데... 나만 못찾으니 왠지 좀 바보가 된듯한 느낌도 드는데-_-;; 뭐를 눌렀어.. 2016. 10. 3.
내정신. 쩝... 요즘 일없이 바빴던탓인가...내일이 공휴일이라는 사실을...... 아무리 백수라지만 -.-그래도 달력에 빨간색도 보고... 여기저기 등록되어있던 문화센터들에서 열심히 공휴일이라고 보내왔음에도...봤을때뿐이고.... 까맣게 생각을 못하고 있었네.. 하 내일 은행갈 계획이였는데.. 은행 못가겠구나..ㅜㅡ 발레도.. 걱정할 필요가 --;; 아니 문자를 오늘까지도 받고도 고민한건 뭐지-_-;;혼자서 열심히 고민했던것들이 우습도다.... -_-;;;; 2016. 10. 3.
윤리적 구매라는 신화 길기도 무지 길어서 나름 열심히 읽었건만, 끝내 정작 결론이 있는 막판에 가서는 대충 읽어야했고..... (이렇게 긴줄 알았으면 아예 나중에 읽는건데,시간이 ㅜ) 번역은 도대체 어떻게 한건지.. 왠지 훨씬 낫기는 하지만, 구글번역기로 돌린듯한 스타일의..한국 사람이 아니라, 외국 사람이 번역한 느낌이랄까... 그냥 대충뜻을 끼워맞춰 이해해야 하는 문장들이 상당히 있어서... 이게 글까지 기니 나같이 글을 잘 안읽고 사는 사람으로서는, 나중에는 정신이 없네... 암튼 내용은 나쁘지가 않은데.....길이와 번역때문에 내용이 참... 머리에 들어와서 한바뀌 삥~ 열차타고 도는 느낌... 윤리적 구매라는 신화 http://highline.huffingtonpost.com/articles/ko/the-myth-o.. 2016. 10. 2.
짜증... 독일에 사는 교민들 사이트....나도 독일있을떄는 꽤 자주 방문했고.... 한국 온 이후로는 그렇지는 않지만, 가끔 가다가 방문을 하고...나도 아무래도 오래 산 기간이 있다보니, 가끔씩은 답변들을 하기도 하고.. 또 필요에 의해서 최근에는 질문을 올리기도 했는데.. 물론.. 여기 답하는 사람들도 다 자기 경험이나 그런거에서 나온거고, 무슨 정답지가 아니고,그러니까 본의 아니게 틀린 답을 할 수 도 있고, 잘모르고 얘기할 수도 있고...그런거 이해는 하는데... 자기가 잘모르면서도... 질문마다 자꾸 답을 하는 사람이 있다. --그나마도 질문도 정확히 안읽고-_- (나도 글을 정확히 안읽는 일이 많지만--; 그래도 남의 질문에 답하는건데! 더군다나 사적인 공간도 아니고 그런 정보교환게시판같은곳에..)뭔가.. 2016. 9. 26.
"뇌도 근육처럼 써야 발전", 뇌 건강 유지법 "뇌도 근육처럼 써야 발전", 뇌 건강 유지법http://media.daum.net/life/health/wellness/newsview?newsId=20160919111803006&RIGHT_LIFE=R5 ◆익숙하지 않은 길을 걷는다=새로운 일을 시도하면 뇌 기능을 강화하는데 도움이 된다. 길을 걸을 때 매일 익숙한 길을 오가는 것보단 새로운 경로를 찾아 걷는 것이 뇌 건강에 보다 유익하다.걷기뿐만이 아니다. 매일 비슷한 음식을 먹는다거나 매일 똑같은 TV프로그램을 보는 등의 반복적인 생활패턴을 유지하는 것도 뇌 발전을 저해하는 원인이 된다. 스카이다이빙을 한다거나 암벽을 타는 일처럼 극단적인 도전까진 필요없다. 새로운 사람과 만나 대화하고 갤러리에서 예술작품을 감상하고 새로운 산책길을 찾는 정도만으로.. 2016. 9. 26.
한국 '건강과 생명 관련 삶의 질' 188개국 중 35위(종합) 건강웰빙 한국 '건강과 생명 관련 삶의 질' 188개국 중 35위(종합) 아이슬란드 1위, 미국 28위, 북한 116위, 러시아 119위 국제연구팀, 유엔 개발목표 중 보건분야 지표 분석 평가 http://media.daum.net/life/newsview?newsId=20160923164118405&RIGHT_LIFE=R6 나쁘지 않네. 딱 우리 나라 정도에 걸맞는 결과같다.여하튼 여기 올라온것 처럼, 결국 나라는 잘살고 봐야된다.평균수명 조사해도 결국 큰범위로는 선진국, 후진국으로 나눠지는건데조심하라는거 다 조심하고 사는게 좋다. 이말.물론 난 내일 죽어도 좋다, 짧고 굵게 살겠다, 고 하면 할말 없다.그건 선택이니.하지만 그렇다고 그렇게 해도 상관 없다, 영향 안끼친다는 아니란 말이지.그 소수의 시.. 2016. 9. 24.